ISSN 1225-6447 (Print) / ISSN 3058-3225 (Online)
주간기술동향 1911호(2019-08-28 00:00:00.0 발행)
원문 다운로드검색결과 0건
최근 들어, 가속화되고 있는 양자 컴퓨터 기술 개발로 인해 현존하는 암호화 시스템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차세대 암호라고 할 수 있는 양자 내성 암호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 그 중에서도 미국의 NIST를 중심으로 진행 중인 양자 내성 암호 표준화 사업이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 2번째 라운드가 진행 중이며 26개의 서로 상이한 기반 문제를 가진 양자 내성 암호 후보군들이 전 세계 학자들로부터 공개적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양자 내성 암호 공모전의 진행 사항과 제안되고 있는 양자 내성 암호 알고리즘 후보군들의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다가오게 될 양자 컴퓨터 시대에도 안전하게 사이버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의료기기의 연결성이 확대되고 기능이 고도화 되면서 보안 위협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TrapX사의 보고에 의하면 의료 사이버 공격은 지난 3년간 300%가 증가하였으며, ZingBoX사는 90%의 병원이 사이버공격의 피해를 경험하였고, 73%의 병원이 의료기기에 대한 보안전략을 갖고 있지 않다고 보고하였다. 실제로 인슐린펌프(2019), 심장박동기(2018), 약물주입기(2017) 등 다수의 의료기기 해킹, WannaCry(2017) 등 랜섬웨어로 인한 의료기관 피해, MEDJACK(2015~2017) 공격 등을 통한 병원네트워크 침투 등 보안 위협 및 피해가 현실화 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의료기기 보안 현황, 위협, 국내외 의료기기 보안 표준, 가이드라인 및 R&D 동향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정밀 맵 음영지역에서의 주행 콘텐츠 시공간 이해와 고정밀 맵 음영지역에서의 자율주행 네비게이션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주행상황에서 사고 발생 시 후방 운전자 및 자율주행차에 효율적으로 사고 발생 신호를 표출하는 기술, 차 사고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 실시간 사고 위험 처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