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Ⅰ. 개요
Ⅱ. 인공지능 헬스케어의 정책, 시장, 기술 및 특허
Ⅲ. 인공지능 헬스케어의 적용분야 및 응용 제품.서비스
Ⅳ. 인공지능 헬스케어 생태계: 사업자 중심 Ⅴ. 인공지능 헬스케어의 사회적 영향
Ⅵ. 결론: 국내 인공지능 헬스케어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정책동향)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국은 인공지능의 글로벌 역량강화를 위해 정부차원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유전체 분석,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정책 및 연구개발 진행
(시장전망) 헬스케어 산업은 인공지능의 활용성이 높은 분야로 인공지능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40% 이상의 매우 높은 연평균성장률(CAGR)을 통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기술)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텍스트 기반 대규모 의료 데이터, 의사와 환자간 대화, 방대한 분량의 영상의료 데이터 등에 머신러닝, 딥러닝, 음성인식 기술, 영상이미지 인식 기술 및 자연어처리 기술 등의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특허) 우리나라가 해외 출원한 헬스케어 분야의 인공지능 특허건수가 미국, 일본에 비해 적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향후 지적재산권 확보를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 필요
(정책적 시사점) 인공지능 헬스케어 후발주자로서 우리나라는 인공지능 R&D에 대한 투자 확대와 국민건강보험의 대규모 의료 데이터를 보유한 강점을 발휘하여 민간에서 스타트업 확산, 혁신적인 제품.서비스 발굴을 위한 정책 환경 조성과 각종 의료관련 규제 완화를 통해 정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필요